아이 하나 낳아 키우기 정말 힘든 시대죠? 정부에서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출산 지원금을 대폭 증액시켰습니다. 그만큼 인구 절벽이 현실화 된다는 반증일텐데요 2023년 출산지원금 어떻게 바뀌고 얼만큼 큰 혜택이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.
출산 지원금
출산 지원금의 종류
1. 첫 만남 이용권
2. 국민행복카드
3. 아동수당
4. 가정양육수당
5. 부모급여
6. 엽산제/철분제 지원
7. 농산물 지원
8. 도서 지원
9. 전기요금 인하
첫만남 이용권
지원대상: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
지원금액: 200만원 상당의 바우처 지원(현금x)
지급시기 및 사용기간: 신청 후 1주일 내 지급/ 출산 후 1년간 사용가능
신청기간: 주민번호 발급 후 신청 가능
신청방법: 관할 주민센터
온라인 신청: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가능
tbu/app/main/Main
www.bokjiro.go.kr
통합검색 | 정부24
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.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
www.gov.kr
국민행복카드
사용처와 혜택
임신/출산 병원 진료비: 임신 1회당 100만원(다태아임산부 140만원)
청소년 산모 임신/출산 의료비: 임신 1회당 120만원 내
분유, 기적귀: 기저귀-월64000원 / 조제분유-월 86000원
아이돌봄 지원사업
에너지 바우처
유아학비 / 보육료
청소년 여성 위생용품: 월 11000원
신청방법: 각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 가능
아동수당
지원대상: 만 8세미만 아동
지원금액: 월 10만원
신청방법: 관할 주민센터
온라인 신청: 복지로 / 정부24
가정양육수당
지급연령과 대상
0~11개월: 20만원
12~23개월: 15만원(농어촌17만원)
24~35개월: 10만원(농어촌15만6천원)
36~86개월: 10만원(농어촌 10~12만9천원)
장애아동
0~35개월: 20만원
36~86개월: 10만원
신청방법: 관할 주민센터
부모급여
과거 영아수당의 경우 지원금액을 이용권으로 지급되었으나 2023년 부모급여의 경우 전액 현금 지급
매월 15일 기준 15일 이전 신청시 신청한 달에 부모급여 지급
만 0세:월 70만원
만 1세:월 35만원
신청방법: 관할 주민센터
엽산제/철분제 지원
엽산제: 임신 전 3개월 또는 임신 후 3개월 까지 지급
철분제: 임신 4개월 이후 부터 5개월간 지급
신청방법: 관할 보건소
온라인 신청방법: 정부24
농산물 지원
지원내용: 친환경 농산물 저렴하게 구매 가능 (월 4회 한도 내에서 회당 3~10만원까지 구매)
신청방법:관할 주민센터
(ECO eMALL) 을 통해 대상자 선정된 자에 한함
도서지원
지자체별로 각 거주지의 주민센터를 통해 그림책이나 영유아용 도서를 지원
신청방법: 관할 주민센터
전기요금 인하
지원대상:
출산 후 36개월 미만의 영아 1인 이상 가구 / 자녀 3인 이상의 다자녀 가구 / 가족구성원 5인 이상 가구
지원혜택: 최대 30% 전기료 인하
신청방법: 관할 주민센터
2023년에 뜨겁게 사랑하고 대한민국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애국자가 되시길 간절히 기원하겠습니다.
댓글